안녕하세요 베리스미스 입니다 :)
오늘은 갤럭시 폴드와 관련한 내용 및 이와 관련된 종목에 대해서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갤럭시 폴드 출시와 관련된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중요한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 있는 뉴스들과 함께 시장 상황 및 관련 종목들을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1.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동향


위의 그래프를 보시면, 전세게 스마트폰 출하량 전망을 보실 수 있는데요,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하여 큰 성장을 하지 못했는데, 2021년에는 코로나 여파의 해소로 전년대비 7.7% 성장하여 13.8억대의 스마트폰 출하량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019년 부터 2020년 까지는 스마트폰 출하량이 하향 속선을 그리고 있었는데, 2년만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2년에는 14.3억대 까지 출하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결론 : 스마트폰 시장의 경우 다시 상승 추세가 진행될 전망이다.
2. 갤럭시 폴드 관련 이슈

위의 기사를 보시면, 제목과 같이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를 포기하고, 올해 폴더블폰 판매량을 3배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1) 노트 단종
이번에 삼성전자게 갤럭시노트를 단종 시키면서, 갤럭시노트의 일부 세그먼트를 S시리즈와 갤럭시폴드가 가지고 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 때문에 목표 판매량을 높이지 않았나 생각되며, 실제 판매량이 높아진다면 관련주들에게는 호재일 수 있겠네요
(2) 가격
갤럭시폴드2의 경우 출고가가 240만원으로 매우 비싸서 구매하기 망설이셨던 분들이 많으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갤럭시Z폴드3의 경우 삼성전자가 2021년을 폴더블폰 대중화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한 만큼, 전작 대비 400달러 낮추어 원화로 100만원 후반대로 맞추려고 노력중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즉 가격적 부담이 낮아져서 판매량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거죠.
(3) 갤럭시언팩 행사
갤럭시 언팩이 8월 3일로 예정되어 있는데요, 최초에는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 갤럭시S21FE가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최근 갤럭시S21FE의 공개가 한달 이상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반도체품귀 현상으로 인한 갤럭시S21FE의 모바일 칩셋(AP)인 스냅드래곤888의 수급 부족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이 아닌, 갤럭시S21FE의 공개를 연기한 점 인데요,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에 대한 판매 의지를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4) 갤럭시폴드 판매량
2019년 첫 출시한 갤럭시폴드1는 40만대 였는데요,
2020년 갤럭시Z폴드2 및 갤럭시Z플립은 250만대로 약 6배나 더 팔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제시했던 최초의 목표였던 500만대에는 미달하여 아쉬운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구요
결국 올해 출시될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의 판매가 진검승부가 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뉴스에는 700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분석기관 마다 의 경우 2021년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을 560만대에서 2,000만대 까지 예상하기도 하니... 실제 판매가 얼마나 이루어질지를 지켜보는게 중요할 듯 싶습니다.
그렇지만, 폴더블폰의 침투율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이 평균 14억대 이고, 폴더블폰 출하량이 700만 이라면? 침투율이 약 0.5%밖에 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더 성장할 room이 충분하기 때문에 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① 갤럭시노트의 단종으로 갤럭시폴드로 세그먼트가 일부 옮겨질 것으로 예상
② 전작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
③ 목표 판매량 또한 전년대비 3배 이상 높임
④ 8월 3일 갤럭시 언팩에서는 갤럭시 폴드 제품 2종만 공개될 것으로 예상
3. 삼성전자 갤럭시폴드 관련주
(1) KH바텍 (메인힌지)


KH바텍의 경우 갤럭시폴드1 때부터 삼성전자제 힌지를 독점 납품해온 업체 입니다.
갤럭시폴드1 때에는 개당 27달러, 폴드2의 경우 개당 20달러를 받고 공급을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갤럭시Z플립3의 경우 납품수량(Q)을 늘리는 대신 10% 저렴하게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도 추가적인 원가 절감을 위하여 내년 부터는 벤더를 하나 더 추가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메인 밴더 지위는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KH바텍의 주가를 보시면 갤럭시폴드1이 출시된 19년 9월에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그 이후로는 15,000원 에서 25,000원의 넓은 간격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현재는 갤럭시폴드2의 공개일이었던 20년 8월과 비슷한 수준의 주가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번 갤럭시Z폴드3 및 갤럭시Z플립3이 공개되는 갤럭시언팩때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 파인테크닉스 (메탈플레이트(내장힌지))


파인테크닉스는 IT부품 사업과 LED 조명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로써, 폴더블폰과 관련해서는 내장힌지를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내장힌지의 경우, 디스플레이가 펼쳐졌을 때 곧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부품 입니다.

파인테크닉스의 주가를 보시면 갤럭시폴드1이 출시된 19년 9월에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코시국을 제외한다면 약 1년간 횡보를 하다가 크게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갤럭시Z폴드3 및 갤럭시Z플립3이 공개되는 갤럭시언팩때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3) 엘이티 (UTG)


엘이티는 갤럭시폴드에 들어가는 UTG (Ultra Thin Glass)와 관련된 업체 입니다.
폴더블폰의 경우 최초에는 CPI를 사용했으나, 프리미엄을 표방하는 갤럭시폴드 입장에서는 더 고성능의 소재를 사용하고자 했고, 이 때문에 사용된 것이 바로 UTG 입니다.
삼성전자 향으로 UTG를 공급하는 업체는 도우인시스이며, 삼성디스플레이가 최대주주 입니다.
하지만, 도우인시스는 비상장 업체로 투자가 어렵습니다.
참고로 도우인시스 지분을 보유중인 회사로 뉴파워프라즈마도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엘이티는 작년 6월 신규 상장한 종목으로 도우인시스에 UTG 공정을 세계 최초로 Full 자동화하여 개발 및 공급하고 있는 업체이기 때문에 폴더블폰 관련주로 볼 수 있습니다.

엘이티 주가를 보시면 21년에 크게 상승을 준 뒤 조정 후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4) 비에이치 (기판)


마지막으로 비에이치 입니다. 비에이치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 입니다.
OLED 기판의 경우 FPCB 또는 RFPCB 기반을 사용하는데요, 폴더블폰의 경우 RFPCB 기판을 사용합니다.
(PCB기판의 경우 처음에 글자가 많을수록 비싸다고 보시면 됩니다. PCB < FPCB < RFPCB)
삼성전자향 RFPBC 기판 물량의 약 50 ~ 55% 정도를 비에이치가 납품하고 있고, 나머지를 삼성전기가 납품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삼성전자가 RFPCB 사업을 철수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실제로 삼성전기가 RFPCB 사업을 철수할 경우, 비에이치가 나머지 물량을 전부 가져가 독점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비에이치 주가를 보시면 갤럭시폴드1 출시 시점에서 크게 상승을 준 뒤 지속적으로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비에이치의 경우 폴더블폰 판매량 증가로 인한 실적 향상과 삼성전기의 RFPCB 사업 철수가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물론, 이 글은 저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간 내용이기 때문에 투자에는 신중하셔야 하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개임에게 있음을 당부 부탁 드립니다.
저도 아직 부족한 한 사람으로써 다양한 정보 확인을 통하여 신중히 투자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나의 이야기 >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 공부하기] 2차전지 소재 관련주 - 2탄 / 양극재용 전구체 관련주 / 고려아연 / 코스모화학 / 이엔드디 (0) | 2021.07.16 |
---|---|
[종목 공부하기] 2차전지 소재 및 관련주 / 2차전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2차전지 구성요소 / 2차전지 관련주 (0) | 2021.07.15 |
[종목 공부하기] 컴투스 - 과연 언제가 저점일까? (0) | 2021.07.13 |
[종목 공부하기 : 바이오 종목] 신풍제약 하한가, 코로나19 위험이 적은 바이오 종목은 어떤게 있을까? (CAR-NK세포 치료제, S-PA (0) | 2021.07.07 |
'곡물 가격' 및 '축산물 가격' 동향 확인하기 (1) | 2021.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