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콜마 주가
화장품 관련주
면세점 관련주
리오프닝 관련주
한국콜마 기업 정보
- 한국콜마는 2012년 10월 한국콜마로부터 분할 되어 설립되었으며 화장품 ODM사업과 제약 CMO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한국콜마는 화장품업계 최초로 국내에 ODM 방식을 정착시키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로 업계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한국콜마는 화장품 사업 희망자에게 컨설팅을 제공하고 제품까지 만들어주는 뷰티&헬스 프로덕션 플랫폼 '플래닛147'서비스를 론칭 하였습니다.
한국콜마 실적
- 한국콜마의 경우 매출액은 2017년부터 2021년 까지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는 중 입니다. (2020년 제외) 2021년의 경우 2020년 대비 매출액은 약 2,600억 증가하였으나, 영업익은 약 400억 감소하였습니다.
2017년 매출액 : 8,216억, 영업익 : 670억
2018년 매출액 : 13,579억, 영업익 : 900억
2019년 매출액 : 13,789억, 영업익 : 998억
2020년 매출액 : 13,221억, 영업익 : 1,217억
2021년 매출액 : 15,863억, 영업익 : 843억
- 한국콜마의 2022년 실적은 매출액 17,578억 및 영업익 1,275억으로 다시 영업익 1,200억 회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콜마 이슈사항들은?
"화장발 끝났나" 코로나19로 중국 매출 하락세, 주가도 주르륵 (22년 3월 15일)
코로나19 이전 중국 백화점의 설화수 매장_출처 : 이코노미스트
- 최근 국내 화장품 대기업들이 주가 하락세에 맥을 못추고 있음.
- 아모레퍼시픽은 25.88% 하락, LG생활건강은 42.01%, 토니모리는 39.5%, 한국콜마는 22.46%, 코스맥스는 25.77% 하락함.
- 중국 매출의 시족적인 하락 전망으로 인하여 중국 매출 비중이 큰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짐.
- 면세 매출 감소 확대 및 중국 이커머스 경쟁 심화로 인하여 중국 소비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됨.
- 한국콜마의 경우 중국 外 북미, 유럽 등의 글로벌 수출 시장 확대를 설명 예정.
- 현재 중국의 경우 '제로 코로나' 정책을 내세우며 대규모 초강력 봉쇄에 재돌입함.
한국콜마, 주가 과도한 저평가.. 국내 외 법인 성장세
한국콜마 생명과학연구소_출처 : 아시아경제
- NH투자증권이 한국콜마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6만원 유지
- 작년 영업익이 전년대비 50.2% 줄었는데, 이는 자회사 이노엔의 영업이익이 저마진 머크앤컴퍼니 백신 도입효과로 인하여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본입인 별도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판단됨.
- 경쟁사 비교시 국내외 고객사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아쉬움은 있으나, 신규 고객사 확충으로 보완되고 있는 상황.
- 최대 고객사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두자릿수의 영업익을 기록하여 기초 체력향상 및 향후 신규 고객사 수주 증가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확대 가능성이 입증됨.
- 또한, 중국 북경법인의 하락세 마무리 및 무석법인의 고성장 지속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됨.
"한국콜마' 화장품 사업의 본격적인 개선세 기대 (22년 3월 24일)
한국콜마_출처 : 뉴스투데이
- 키움증권이 한국콜마에 대해 리오프닝 후 실적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전함
- 한국콜마는 한국에서 화장품 ODM 방식을 최초로 추진한 기업으로 현재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영위 중
- 한국콜마의 화장품 사업은 높은 ODM 비중 및 뛰어난 R&D 역량을 지니고 있어 현재 특허는 약 581건 출원, 기능성 화장품 허가 건수는 약 6,125건임.
- 국내외 법인의 화장품 부문 고객사들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한국콜마의 21년 4분기 실적이 큰 회복세를 보임
- 미국법인의 경우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46.7%, 중국 무석 법인은 온라인 브랜드사 주문 증가로 71.39%를 기록함
- 향후 미국 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철폐, 신규 고객사 증가시 해외 법인들의 성장세 두드러질 것으로 기대.
- 단, 중국 법인의 손익분기점 달성 지연, 중국 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신은 리스크
반응형
K-뷰티, 중동시장 전파, 국내 화장품 ODM 업체 최초
(사)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와(IBITA)의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수출 진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_출처 : 매일안전신문
- 한국콜마가 23일 IBITA와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수출 진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 이번 협약으로 한국콜마는 IBITA를 통해 중동 지역 고객사의 화장품을 독점 개발/생산하고 IBITA는 현지 홍보와 유통을 적극 지원함.
- 한국콜마는 생산 조건이 까다로운 할랄 화장품 인증을 적극적으로 대응해 중동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고자 세종공장 및 부천공장에 각각 기초, 색조화장품 생산을 위한 할랄 보증 시스템을 구축함.
- 본 협약을 기점으로 중국, 북미 중심의 해외사업을 중동 및 북아프리카 까지 넓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중동 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 중으로, 2019년 205억 달러에서 올해는 246억달러로 한화 약 29.4조 까지 증가할 전망임.
한국콜마 주가 전망
한국콜마 투자정보 (좌측 일봉, 우측 주봉)
한국콜마 투자정보 (시가총액 등)
- 한국콜마의 2022년 실적은 매출액 17,578억 및 영업익 1,275억으로 다시 영업익 1,200억 회복이 예상되고 있음.
- 화장품 관련주의 경우 면세 매출 감소 확대 및 중국 이커머스 경쟁 심화로 인하여 중국 소비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되어 주가는 하락 중.
- 한국콜마의 작년 영업익은 전년대비 50.2% 줄었는데, 이는 자회사 이노엔의 영업이익이 저마진 머크앤컴퍼니 백신 도입효과로 인하여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본입인 별도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여짐.
- 한국콜마의 경우 국내외 법인의 화장품 부문 고객사들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한국콜마의 21년 4분기 실적이 큰 회복세를 보임.
- 또한,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수출 진흥을 위한 업무협약'을 통하여 중국 북미 중심의 해외사업을 중동 및 북아프리카 까지 넓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해 나가려고 하고 있음.
- 단, 중국 법인의 손익분기점 달성 지연, 중국 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확신은 리스크.
물론, 이 글은 저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간 내용이기 때문에 투자에는 신중하셔야 하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개임에게 있음을 당부 부탁 드립니다.
저도 아직 부족한 한 사람으로써 다양한 정보 확인을 통하여 신중히 투자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나의 이야기 >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 공부하기] 이녹스첨단소재 주가 / OLED 관련주 / 폴더블폰 관련주 / 이녹스첨단소재 실정 (0) | 2022.03.25 |
---|---|
[종목 공부하기] 유니드 주가 / 탄산칼륨 관련주 / 곡물 전쟁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 벨라루스 (0) | 2022.03.22 |
[종목 공부하기] 수소차 관련주 중 알짜종목은 이것? / 2. 두산퓨얼셀 (0) | 2021.09.03 |
[종목 공부하기] 수소차 관련주 중 알짜종목은 이것? / 1. 상아프론테크 (0) | 2021.09.02 |
[종목 공부하기] 컴투스 주가 / 청소년 게임 셧다운제 폐지 / 더이상의 악재는 없다? (0) | 2021.08.25 |